2030 부산엑스포 발표일 !! 경쟁국 / 유치 효과
본문 바로가기

뉴스

2030 부산엑스포 발표일 !! 경쟁국 / 유치 효과

반응형

 

1. 2030 엑스포 후보지 

 

세계박람회

 

2030년 세계박람회 개최 후보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산 (대한민국)
  • 로마 (이탈리아)
  • 리야드 (사우디아라비아)

 

2023년 6월 20일,

국제박람회기구(BIE)는 2030년 세계박람회 개최 후보지를 부산, 로마, 리야드 등 3개 도시로 최종 확정했습니다.

 

이전에는 우크라이나 오데사도 후보로 참여했으나,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유치 자격이 박탈되었습니다.

 

부산은 2030년 세계박람회의 주제를 "세계의 대전환,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항해"로 정하고,

부산 북항 일원을 전시 부지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부산은 아시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양, 항만, 첨단 기술 등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어

2030년 세계박람회의 성공적인 개최지로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로마는 2030년 세계박람회의 주제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도시"로 정하고,

로마 중심부 일원을 전시 부지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로마는 세계적인 역사와 문화를 가진 도시로, 2030년 세계박람회를 통해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리야드는 2030년 세계박람회의 주제를 "미래를 위한 지속 가능한 개발"로 정하고,

리야드 북부 일원을 전시 부지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리야드는 중동의 중심에 위치한 도시로, 2030년 세계박람회를 통해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고자 합니다.

 

 

2. 엑스포 유치 효과 

 

엑스포 유치의 효과는 크게 경제적 효과, 국제적 위상 강화, 문화적 발전, 인프라 구축 등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경제적 효과

엑스포 개최로 인한 관광객 유입, 건설 및 운영 비용 지출, 인프라 구축 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말합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분석에 따르면, 2030부산세계박람회 개최 시 총 61조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월드컵과 올림픽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4배 이상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국제적 위상 강화 효과는

엑스포 개최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고, 글로벌 협력의 기반을 마련하는 효과를 말합니다.

엑스포는 전 세계 195개국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행사로, 개최국은 엑스포를 통해 자국의 문화와 기술을 전 세계에 알릴 수 있습니다. 또한, 엑스포는 국가 간 협력과 교류의 기회를 제공하여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할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문화적 발전 효과는

 

엑스포 개최를 통해 한국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문화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효과를 말합니다. 엑스포는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으로, 개최국은 엑스포를 통해 자국의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릴 수 있습니다. 또한, 엑스포는 문화산업의 발전을 촉진하여 한국 문화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인프라 구축 효과는

엑스포 개최를 통해 교통, 통신, 에너지 등 사회간접자본(SOC)을 확충하는 효과를 말합니다. 엑스포 개최를 위해서는 대규모 부지와 시설이 필요하므로, 개최국은 엑스포를 계기로 SOC를 확충하게 됩니다. 이는 지역 경제 발전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2030부산세계박람회는 한국이 처음으로 개최하는 등록 엑스포로, 유치에 성공할 경우 한국은 경제적, 국제적, 문화적, 인프라 측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출처 : 쿠팡 트레블

https://link.coupang.com/a/bhjoJi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3. 2030 엑스포 발표일 

 

지난 11월 21일 한국은 2030세계엑스포 개최지 최종투표의 기호 1번을 확보했다.

경쟁국인 이탈리아 로마는 기호 2번,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는 기호 3번이다.

 

 

2030년 세계박람회는


2023년 11월 28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개최지가 결정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