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정부가 베트남을 국빈방문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23일 희토류를 비롯한 핵심광물 공급망센터를 건립하는
MOU를 체결했습니다.
그럼 희토류가 대체 무엇인지? 관련사항을 살펴보고, 연관 기업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희토류 ?
희토류는 주기율표의 17개 화학 원소의 통칭으로, 스칸듐과 이트륨, 그리고 란타넘부터 루테튬까지의 란타넘족 원소를 말합니다. 희토류는 화학적 성질이 유사하고 광물 속에 그룹으로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희토류로 통칭합니다.
희토류는 전기 자동차, 태양광 패널, 스마트폰, 컴퓨터,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사용됩니다.
또한, 희토류는 자석, 유리, 세라믹, 로켓 연료, 원자력 발전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됩니다.
희토류는 지구상에 널리 분포되어 있지만, 대부분 중국에 매장되어 있습니다.
중국의 매장량은 4400만톤 정도로 추정되며, 베트남은 2200만톤으로 매장량 2위에 해당합니다.
희토류는 중요한 전략 자원이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각국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그 일환으로 우리 한국도 이번에 베트남과 MOU를 체결했습니다 .
희토류 & 전기차 배터리
희토류는 주요 전자제품에 쓰이고 있었지만, 전기차가 대두되며 배터리 소재로써 더욱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희토류는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디스프로슘입니다. 이 세 가지 희토류는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부품인 영구 자석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영구 자석은 전기차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전기차의 주행 거리를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네오디뮴은 전기차 배터리의 영구 자석을 만드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희토류입니다. 네오디뮴은 희토류 중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며, 가격도 가장 저렴합니다. 그러나 네오디뮴은 환경 오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네오디뮴의 추출 과정에서는 납과 수은과 같은 유해 물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라세오디뮴은 네오디뮴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희토류입니다. 프라세오디뮴은 네오디뮴보다 가격이 비싸지만, 네오디뮴보다 환경 오염의 위험이 적습니다. 프라세오디뮴은 네오디뮴과 함께 전기차 배터리의 영구 자석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디스프로슘은 전기차 배터리의 영구 자석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희토류 중에서 가장 희귀한 원소입니다. 디스프로슘은 네오디뮴과 프라세오디뮴보다 가격이 매우 비싸며, 환경 오염의 위험도 큽니다. 디스프로슘은 네오디뮴과 프라세오디뮴과 함께 전기차 배터리의 영구 자석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희토류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리튬 철 인산염(LFP) 배터리는 희토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합니다. LFP 배터리는 전기차의 가격을 낮추고, 희토류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이 있습니다.#
연관기업
희토류 관련 기업은 몇군데가 있습니다.
세토피아, 노바텍, 유니온머티리얼, 티플랙스 등 네이버 증권으로 본 기업이 12~13개 정도 되는 것 같습니다.
베트남과의 업무, 개발 협력사항이기 때문에 베트남과 "연"이 있는 기업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노바텍, 유니온머티이얼 등이 베트남에 업체를 가지고 있고,
저희는 그 중에서도 세토피아를 살펴보겠습니다.
세토피아
철강사업 & 시큐리티사업 & 서비스사업 분야 등을 영위하는 업체입니다.
매출은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여 작년 천억대를 기록했으나, 영업이익은 적자 상태입니다.
다만, 베트남 업무협약과 관련해서 세토피아를 주목하는 부분은
베트남의 Vietnam Rare Earth JSC와 영구자석의 재료인 NdPr Oxide 구매계약을 체결했고,
희토류 관련 베트남 사업을 지속해오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인지, 지난 금요일 8%대의 상승을 보여주었습니다.
차트도 상당히 좋아보이네요.
금요일에 매수하면 좋았겠지만, 이미 시간은 지났고 ㅋㅋ
월요일 시초가 또는 떨어질때 매수해본다면 좋은 수익을 줄 것이라 보입니다.
희토류 관련해서는 전기차가 지속해서 성장하는 한 함께 갈 수 밖에 없는 이슈이므로,
단발성 테마가 아닌 장기적 관점으로 투자해도 좋은 분야라고 보입니다.
'재테크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스파탐 발암 / 관련주 있을까? (0) | 2023.07.02 |
---|---|
우크라이나 재건주 /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 (7/17) (0) | 2023.06.26 |
흑연 관련주 / 그래핀 (0) | 2023.06.23 |
킬러문항 뜻 / 공교육 강화 관련주 (0) | 2023.06.22 |
모듈러 주택 관련주 (0) | 2023.06.21 |